[자율 공부방] 학습(작업) 내용 공유 - 29

[자율 공부방] 학습(작업) 내용 공유 - 29

영남이공대학교 자율 공부 모임에 공유할 목적으로 작성하는 포스트입니다.
학습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별도 포스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 학습하며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개요

  • 날짜: 2021년 03월 28일 일요일
  • 내용
    •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서적을 읽고, 관련 LeetCode Solution Workspace를 생성했습니다.
    • 공직자재산공개 방식 개선 제안서 작성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 교과목 실기교육방법론 강의를 듣고 관련 내용을 정리하며 학습했습니다.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https://github.com/960813/leetcode-problems/commit/c70741e2db17bf780de08b6600ad4e3bdcba5959

공직자재산공개 방식 개선 제안서 작성 회의

  • 제안서 수신처 (인사혁신처 소관)

    1. ✅ 광화문1번가 혁신제안톡 - 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propseTalk/propseTalkListPage.do?menu_id=399 (여기에 올라오는 제안은 정부혁신 주제로 다뤄짐)

    2. 국민신문고 공개제안 - https://www.epeople.go.kr/nep/prpsl/opnPrpl/opnpblPrpslList.npaid

    3. 국민청원 -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

    4. 정부혁신1번가 - https://www.innogov.go.kr/ucms/main/main.do (소개용 사이트)

    5.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국민신문고보다 광화문1번가가 더 효과적이겠습니다. 국민청원은 몇백명 이상 공감해야 해서 노출이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csv로 공개할 경우 위변조 가능성이 있어 곤란하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미리 대응하기

    1. pdf도 변조 가능
    2. 이미 뉴스타파와 MBC가 따로 가공/정리하고 있음
    3. 민간 사례 링크와 스크린샷
    4. 데이터 가공/변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데, 정부 차원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어떤가.
  • 재산 공개

    1. 공직윤리시스템 링크
    2. 공직자 재산 공개 링크
    3. 모든 공직자 재산 공개 링크1 링크2
  • 3월 30일 오전까지 제안서 완성 @모두

    1. 제안서 참고 - 코로나19 공공데이터 공동대응
  • 3월 30일 광화문1번가에 제안서 업로드 @예찬

  • 혁신제안톡의 제안을 추가로 보낼 곳

    1. 정부혁신전략추진단, 총리 국조실 @시스
    2. 민주당 당정협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 @예찬
    3. 반부패비서관, 제도혁신비서관* / 반부패정책협의회 @홍승오
  • 홍보

    1. 코드포코리아 3월 밋앤핵: 2021. 03. 30. (화)
    2. 코드포코리아 SNS: 페이스북, 블로그
    3. 온라인 개발자, 시사이슈 커뮤니티: 생활코딩, SemiColon

실기교육방법론 학습

학습 목표

  • 교수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 교수의 3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글레이저의 교수모형을 설명할 수 있다.

교수이론

교수의 의미

  • 교수란?
    교사와 학생이 어떤 주제에 함께 참여하여 상호작용 속에서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활동을 말한다
  • 교수 활동: 교재 <표 3-1> 교수활동의 세 영역image-20210328120443932

교수 활동의 세 영역

  • 논리적 활동: 교과와 관련된 사고 및 추론 등의 지적 활동을 의미
    • 추론하기
    • 결론 내리기
    • 설명하기
    • 비교하기
    • 정의하기
    • 정당화하기
  • 전략적 활동: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법을 의미
    • 질문하기
    • 동기유발하기
    • 평가하기
    • 테스트하기
    • 강화하기
    • 격려하기
    • 신뢰하기
    • 존중해 주기
  • 제도적 활동: 책임자가 교사의 직무를 조직하는 방식을 의미
    • 교사회의 참석하기
    • 출석 부르기
    • 복도 순시하기
    • 보고하기
    • 청소 검사하기

논리적 활동전략적 활동은 교수의 근본 요소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교수 이론은 논리적 활동과 전략적 활동만을 다룬다.

  • 논리적 활동: 교과와 관련된 사고 및 추론 등의 지적 활동
  • 전략적 활동: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법

교수의 기본 자세

교수의 기본 자세 = 교사의 태도

image-20210328120858850

긍정적 존중

  • 학생들 개개인을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저마다 성장 발달할 잠재력을 가진 존재로 인정하는 것이다.
  • 다른 사람을 신뢰하게 되어 대인관계가 긍정적으로 형성된다.

공감적 이해

  • 학생들의 입장에 서서 그들의 남다른 생각과 감정을 공감적으로 이해 해준다.
  • 학생들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 학생들은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다.

진실성

  •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반응이 순간순간 교사가 내적으로 경험하는 바와 일치하는 상태를 말한다.
  • 진실성 = 일관성 = 진정성 = 진솔성
  • 진실성을 가짐으로써 학생은 교사를 신뢰하게 된다.

이런 태도를 갖춘 교사는 학생들과 친밀해져서 참 만남을 이룰 수 있어 학생들의 타고난 자기실현 경향을 촉진할 수 있다.

교수의 3요소

image-20210328121342346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3가지 요소 간의 상호관계가 성립되어야 한다.

3가지 요소는 역동적 관계이다.
즉, 교과내용의 변화는 교사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 활동의 변화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온다.
교과 내용과 학습자의 관계가 변화되면 교사 또한 변화된다.

교수모형 - 글레이즈 모형

image-20210328121508424

각 구간마다 피드백을 통해 학습 효율 증진을 꾀함

수업목표 설정

  • 교사가 설정
  • 학생 수준에 맞춰줌
  • 수업을 통해서 변화된 학생의 행동특성 상태 기술
  •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정(행동의 변화 관찰을 위해)

출발점 행동진단 => 학습 준비도 진단(진단평가)

  • 학습의 경향성, 준비성 고려
  • 선수학습의 성취상태 파악
  • 학습성취의 가능성, 자신감, 흥미, 동기유발 촉진
  • 학습의 장애나 결손요인을 파악하여 제거, 결손 보충

수업의 실제 => 형성평가

  • 구체적 수업목표 달성을 위해 구체적 교수활동 전개
  • 학생에게 적극적인 학습동기 유발 촉진
  • 완전학습을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
    • 완전학습: 95% 학생이 90%의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
  • 성취도 평가
  • 수업전개 과정의 일부로서 교육목표 달성도 파악

평가 => 총괄평가

  • 수업목표의 달성 여부 확인
  • 수업의 효과성 확인
  • 평가는 앞 단계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정보 제공
  • 다음 단계의 교수과정 설계에 대한 자료 제시

학습 목표

  • 교수 모형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교수학습 지도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교수이론

교수모형

캐롤의 교수모형: 학교학습모형

학교교육과정에서 행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가운데, 특히 지적 학습과 관련된 주요 변인들을 추출한 다음, 그 변인 간의 상호관계를 기초로 학교학습의 방안을 조직적으로 체계화한 것이다.

학교학습 모형의 기본 가정 = 학습의 정도

  • 학습의 정도: 수업목표에서 설정한 도달기준에 비추어 실제로 성취된 수준image-20210328123734533
주요 요인
image-20210328123839649
  • 학습에 사용한 시간 = 학습지속력 x 학습기회
  • 학습에 필요한 시간 = 적성 x 수업이해력 x 수업의 질
  • 변인
    • 교수자: 수업의 질, 학습기회
    • 학습자: 적성, 수업이해력, 학습지속력
학습기회

특정 과제를 학습할 때 학습자에게 실제로 주어지는 시간

수업의 질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일차적으로 교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주어진 학습과제를 가장 빠른 속도로, 즉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적절성

교사 언어의 적설성, 학습자료 및 학습내용에 적절히 접촉할 수 있게하는 것

학습지구력(수업에 대한 주의집중력)

학습성취 효과를 크게 좌우하는 변인이다.

학습자가 학습성취를 위해 학습활동을 전개할 때, 오직 학습성취만을 위해서 전력투구한 시간을 말한다.

적성

최적의 수업 조건에서 주어진 과제를 완전히 학습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 적성이 높으면 주어진 과제를 좀 더 빨리 학습할 수 있다.

수업이해력

학습자가 교사의 교수내용이나 설명을 이해하는 능력.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언어를 구사하여 교과내용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교육적 시사점
  • 수업의 질이 좋으면 그만큼 학습자의 수업이해력이 높아진다.
  • 수업의 질은 학습자의 지속력에 영향을 미친다.
  • 학습기회와 지속력이 다소 낮더라도 적성이 높으면 주어진 과제를 일정한 시간 내에 학습할 수 있다.

블룸의 교수모형: 완전학습 이론

  • 완전학습: 학급 내의 95%의 학생들이 주어진 학습과제의 약 90% 이상을 완전히 학습하는 것
  • 캐롤의 학교학습모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image-20210328124555650

가네의 교수모형: 학습위계 모형

image-20210328125026148
  • 학습의 전제 조건
    • 선행단계가 성취될 때 후행단계의 성취가 가능하다
    • 모든 학습과제를 구체적으로 세분화하고 조직화한다
    • 하나의 목표가 성취되면 다음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적절한 교수처방을 해야 한다.
  • 특징
    • 학습과제는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계순위에 맞추어 과제를 정리한다.
    • 학습된 능력을 축적하기 위해서 학습자를 자극하고 지원하는 내적 조건, 외적 조건이 선행되어야 한다.
      • 내적 조건: 선행학습, 학습동기, 자아개념, 주의집중
      • 외적 조건: 자극과 반응의 연합, 제시방법, 반복과 연습, 강화계획
image-20210328125324485

교수-학습상황에 관련된 요인

  • 학생과 관련된 요인

    image-20210328125632640
  • 교수와 관련된 요인

    image-20210328125926383
  • 교과내용과 관련된 요인

    image-20210328130150081
  • 교수-학습 지도원리

    image-20210328130438615
  • 자발성의 원리: 학습자가 교육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
  • 개별화의 원리: 학생의 지적 능력, 소질, 적성, 가치관, 흥미 등의 개인차를 고려
  • 직관의 원리(=직접 경험의 원리): 실험, 체험 등 활동을 통해 실제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
  • 통합의 원리: 인지적 + 정서적 조합 / 한 과목 뿐 아니라 여러 과목 / 전인양성
  • 목적의 원리: 수업 목표가 분명할 때 학습자는 적극적으로 참여함
  • 사회화의 원리: 인간은 집단을 이루고 다른 사람과 함께 생활하고 발전하므로 학습을 통해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댓글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