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 공부방] 학습(작업) 내용 공유 - 26

[자율 공부방] 학습(작업) 내용 공유 - 26

영남이공대학교 자율 공부 모임에 공유할 목적으로 작성하는 포스트입니다.
학습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별도 포스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 학습하며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개요

  • 날짜: 2021년 03월 19일 금요일
  • 내용
    • 교과목 QA실습 강의를 듣고 관련 내용을 정리하며 학습했습니다.
    • 해커스 토익 RC Part.5 문제 풀이 약간 진행했습니다.
    • 통합데이터포털 프로젝트 관련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QA실습

SW 테스팅 프로세스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기 위해 수행되는 모든 과정

  • 계획과 제어(Planning and control)
  • 분석과 설계(Analysis and design)
  • 구현과 실행(Implementation and execution)
  • 완료 조건의 평가와 리포팅(Evaluation exit criteria and reporting)
    • 테스트를 얼마나 해야 충분한가?에 대한 정량적 기준
  • 테스트 마감 활동(Test closure activities)

SW 테스트 프로세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출처: CTFL-Syllabus

  •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모델과 프로젝트 방법론
  • 적용하고자 하는 테스트 레벨과 테스트 유형
  • 제품 및 프로젝트 리스크
  • 비즈니스 도메인
  • 예산과 자원, 일정, 복잡도, 계약 및 규제 요구사항
  • 운영 정책
  • 준수해야 하는 내부 및 외부 표준

테스트 프로세스와 테스팅에 필요한 구성 요소

스크린샷2021-03-19_오전_9_18_12.png
  • 이해관계자(StakeHolder): 진행하고 있는 업무와 관련있는 사람. / 그들과 함께 테스트 전략을 수립

테스트 프로세스

계획 및 제어 => 분석과 설계 => 구현과 실행 => 완료 조건의 평가와 리포팅 => 테스트 마감 활동

테스트 계획

테스트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활동 정의

  • 테스트 목적 및 범위의 결정
  • 테스트 정책 및 전략 구현
  • 필요 리소스 결정
  • 테스트 일정관리
  • 테스트 완료 조건의 결정 - 가장 중요

테스트 제어

테스트의 진행 상황을 제어하기 위한 활동

  • 테스트 결과에 대한 측정과 분석
  • 테스트 모니터링 및 문서화
  • 테스트 계힉 대비 진행사항 교정
  • 테스팅 진행과 변경에 대한 의사 결정 활동

테스트 계획/제어 산출물

  • 테스트 계획문서(예시 - 교재 p.271)

테스트 분석과 설계

추상적으로 작성된 테스팅 목적을 구체적으로 변환하는 활동

  • 테스트 베이시스(Test basis) 리뷰
    Test basis: 요구사항을 내포하고 있는 모든 문서 / 요구사항 명세서, 아키텍처, 개발 설계 문서, 인터페이스 등
  • 테스트 대상의 분석을 통한 우선순위 선정
  • 테스트 케이스 설계와 우선순위 선정
  • 테스트 상황과 테스트 케이스에 필요한 테스트 데이터 식별
  • 테스트 환경 구축에 요구되는 자원 식별

테스트 분석과 설계 산출물

  • 테스트 설계문서, 테스트 케이스, 진행 리포트
  • 테스트 케이스 명세서(예시 - 교재 p.315)

테스트 구현과 실행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명시화하는 활동

  • 테스트 케이스 개발
  • 테스트 스크립트 작성
  •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es) 준비
    Test Harnesses: 시스템 및 시스템 컴포넌트를 시험하는 환경의 일부분으로 시험을 지원하는 목적 하에 생성된 코드와 데이터. (Test Driver)
  • 목적에 맞는 테스트 수트(Test Suite) 생성
  • 테스트 환경의 올바른 구축 여부 확인
  • 테스트 수행
  • 테스트 수행 결과 기록
  • 예상 결과와 수행 결과 비교
  • 발견된 결함 보고 및 현상 분석
  • 발견된 결함을 수정한 뒤 해당 테스트 활동을 반복 수행

테스트 구현과 실행 산출물

  • 테스트 프로시저, 테스트 실행 결과, 진행 리포트, 결함 리포트
  • 인시던트(incident - 사고) 보고서(예시 - 교재 p.318~322)
  • 결함 관리 대장(예시 - 교재 p.323)
  • 테스트 현황 보고서(예시 - 교재 p.324~325)

테스트 시 발행하는 결함

테스트 수행 시 다양한 결함들이 발생하며 각각의 결함들을 구분하여 관리 해야함

  • 테스트 케이스 결함 - 잘못된 테스트 케이스
  • 테스트 정황 결함 - 테스트 데이터 수행 및 입력상의 오류
  • 어플리케이션 결함 - 어플리케이션 결함
  • 어플리케이션 정황 결함 - 어플리케이션 사용상의 오류, 환경 오류

개발 프로세스 및 품질 보증 절차에 따른 결함 분류

  • 기획 시 유입된 결함 – 요구사항 미준수
  • 설계 시 유입된 결함–설계의 표준 미준수
  • 코딩 시 유입된 결함–코드의 표준 미준수
  • 테스트 부족으로 유입된 결함
  • 마무리 부족
  • 팀간 의사소통 부족
  • 코딩 실수

결함의 심각도 별 유형 분류

테스트 수행 시 발견되는 결함의 심각도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 되어야함

치명적 결함, 매우 심각, 심각, 보통, 경미

  • 치명적 결함: 시스템 중지, 데이터 손실 및 변조, HW 또는 SW 장애
  • 주요 결함: 기능 상실, 잘못된 기능, 주요 기능 오작동
  • 일반 결함: 불완전한 기능, 사소한 기능 오작동, 잘못된 인터페이스
  • 사소한 결함: 타이핑 에러, 사용자 불편, 스크린 표준의 위반, 좋지 않은 인터페이스
  • 개선 사항: 에러는 아니지만 개선이 필요한 사항

테스트 완료와 리포팅

테스트 완료를 위해 테스트 수행 활동을 평가하는 활동

  • 테스트 실행 결과가 계획에서 제시한 목표를 만족하는지 확인
  • 추가적인 테스트 필요 여부 확인
  • 이해 관계자(Stakeholder)에게 배포할 테스트 요약 보고서 작성
    이해 관계자(Stakeholder): 기업, 행정 등과 관련하여 직・간접적으로 이해 관계를 가지는 사람들을 가리킴

테스트 구현과 실행 산출물

릴리즈 조언, 최종 보고서

테스트 마감

테스트를 종료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의ㅣ미

  • 테스트 결과 마감
  • 테스트 산출물들을 마감하고 보관
  • 테스트 프로세스 심사 및 개선 사항 제안

테스트 구현과 실행 산출물

테스트 프로세스 심사보고서,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계획서

테스트 프로세스 별 산출물

ISTQB

  • 테스트 계획/제어 – 테스트 계획 문서
  • 테스트 분석/설계 – 테스트 설계문서, 테스트 케이스, 진행 리포트
  • 테스트 구현/실행 – 테스트 프로시저, 테스트 실행결과, 진행 리포트, 결함 리포트
  • 테스트 완료/리포팅 – 릴리스 조언, 최종 보고서
  • 테스트 마감 – 테스트 프로세스 심사보고서,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계획서

CSTS

  • 테스트계획-테스트계획서 • 테스트분석및설계
    • 테스트 설계 명세서(Test Design Specification)
    • 테스트 케이스 명세서(Test Case Specification)
    • 테스트 절차서(Test Procedure Specification)
  • 테스트 실행 - 테스트 로그, 테스트 사건 보고서, 테스트 요약 보고서
  • 테스트 평가 및 개선 – 테스트 평가 보고서

해커스토익 RC Part.5

p.48 ~ p.55 학습 수행

통합데이터포털

목표 방향 변경(디지털취약계층=>개발,데이터 학습자)

공감

  • 데이터 자체 오류
  • API 오류
  • 문서/Reference 불친절, 오류
  • 데이터, API, 가이드, 문서 최신화
  • 수업에 사용하는 API의 스펙이 자주 변경된다.
  • API 문서가 불친절함
  •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함
  • UI/UX 불친절

주요 관점

  • 데이터 이용 능력(SKILL): 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모름
  • 데이터 활용 능력(CONTENT):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모름
  • 데이터 접근 능력(ACCESS)
    • 시간에 따른 최신화가 되어있지 않음
    • 비인기 데이터일수록 획득하기 어려움
    • 제공되는 데이터의 활용이 어려움. UX를 고려하지 않은 문서

해결해줄 수 있는 문제

  • 명확한 데이터셋(오류가 없는) 제공
  • 사용자 친화적인 UI/UX 지원
  • API에 대한 참조 문서 제공(활용 사례, 예제 소스코드)

제공할 수 있는 기능

  • API 생성
    • API 이름
    • 사용될 데이터셋 - 다중 선택 가능 / 컬럼 선택 가능
    • 공개 범위(전체, [학습]데이터 허브, 비공개)
  • API 관리
    • API 통계: 시간, 호출 내역, 사용자 고유 번호
    • 요청 거부: 특정 사용자에 대한 요청 거부, 특정 날짜/시간에만 액세스 가능
  • API 이용
    • 회원 로그인 / 회원 가입
    • API 활용 신청
    • API 참조 문서 확인
    • API 활용 목록
    • API 활용 관리(액세스 토큰 확인 등)
    • API 활용 삭제
    • 맞춤형 페이지 제공
      • 개인(네이버 블로그)
        • 데이터 시각화(API나 데이터셋 활용)
        • 데이터에 대한 문서 작성(데이터 분석 결과 보고서 등)
      • 데이터 허브(네이버 카페)
        • 상동
  • 특정 주제에 대한 테마 기능 제공(시각화, API)
  • 데이터셋 등록/관리
    • 데이터셋 이름
    • 파일 업로드(csv/xls)
    • 공개 범위(전체, [학습]데이터 허브, 비공개)

댓글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