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종류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종류

데이터베이스란 논리적으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자료의 모음으로 그 내용을 고도로 구조화함으로써 검색과 갱신의 효율화를 꾀한 것이다. 즉,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자료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MS Excel(스프레드시트)와 유사하게 컬럼(열)레코드(행) 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엑셀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 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Data)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필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 실시간 접근성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에 즉시 응답
  • 지속적인 변화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을 통하여 최신 데이터를 동적으로 유지
  • 동시공유
    여러 이용자가 동시에 원하는 데이터를 공유
  • 내용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참조할 때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나 위치가 아닌 내용으로 참조
  •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켜도 응용프로그램은 변경되지 않음.

맥북에어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1. 데이터 중복 최소화
  2. 데이터 공유
  3. 일관성, 무결성, 보안성 유지
  4. 최신의 데이터 유지
  5. 데이터의 표준화 가능
  6. 데이터의 논리적, 물리적 독립성
  7. 용이한 데이터 접근
  8. 데이터 저장 공간 절약

데이터베이스의 단점

  1.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필요
  2. 많은 비용 부담
  3. 데이터 백업과 복구가 어려움
  4. 시스템의 복잡함
  5. 대용량 디스크로 액세스가 집중되면 과부하 발생

비즈니스미팅

데이터베이스 모델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쓰이는지를 알려주는 이론이나 상세한 설명을 말한다. 아래와 같이 5개의 모델로 제시되어 있으며, 각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하나씩 데이터 모델의 구조와 관련이 있다.

  • 계층형 모델
  • 네트워크형 모델
  • 관계형 모델
  • 객체-관계형 모델
  • 객체형 모델

모든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다루기에는 여유가 부족하다 보니 앞으로의 게시글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오픈소스 DBMS인 MySQL을 기반으로 관련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다룰 예정이다.

요약 노트

  1.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 자료 파일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구조화시킨 데이터의 집합이다.
  2.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특징 4가지는?
  3.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5가지는?

마무리하며

이번 챕터에서 다룬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의 역사와 함께 공부한다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하지만 문자와 사진만으로 내용을 전달해야 하는 글 특성상 많은 내용을 생략하였다.

댓글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